본문 바로가기
MyCar

2025대미자동차관세확정:중고차가격상승요인?

by 중년크리스 2025. 8. 3.

 

 

현재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것으로 확정된 상황에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보겠습니다


* 미국의 15% 관세 부과 시,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미국 수출 비중 감소 시나리오

(단위: %)

연도 미국 수출 비중(기존) 관세 부과 후 예상 비중

2024 38% 38%
2025 38% 30%
2026 38% 24%
2027 38% 20%
  • 설명: 한국 자동차 완성차 수출의 약 38%가 미국 시장인데, 15% 관세가 도입되면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며 점차 비중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판매량 추정 (단위: 천대)

연도 관세 없을 때 판매량 관세 부과 후 판매량 추정

2024 1,350 1,350
2025 1,400 1,200
2026 1,420 1,100
2027 1,450 950
  • 설명: 관세가 부과되면 수출 가격 인상 → 소비자 부담 증가 → 판매량 감소로 이어집니다.
  • 특히 전기차·SUV 중심의 가격 민감 소비층에서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 고용 및 생산 영향 (가정 수치)

항목 기존(2024) 2026년 추정

자동차 산업 고용자 수 450,000명 410,000명
국내 생산 대수 3,800,000대 3,300,000대
  • 설명: 수출 감소 → 공장 가동률 하락 → 생산 축소 및 협력업체 도산 위험 →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종합 분석

항목 영향 요약

수출 감소 미국 수출 중심 완성차 기업의 타격 예상 (현대차, 기아, 부품사 등)
수익성 악화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은 결국 기업의 마진 하락 또는 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귀결됨
생산 구조 변화 미국 현지 생산 확대 압력 증가 (현대차 앨라배마·기아 조지아 공장 활용 극대화 전략)
고용과 지역 경제 국내 공장 축소 시 지역 경제 및 고용 시장에 부정적 영향 미침

* 대응 전략 제안

  1. 미국 현지 생산 확대 및 전환 가속화
    • 관세 회피 및 'Made in USA' 혜택 확보
  2. 미국 외 수출 시장 다변화
    • 유럽, 동남아, 중동 등으로 판로 확대
  3. 프리미엄/친환경차 위주 수출 전환
    • 가격 경쟁력 약화를 품질·브랜드 파워로 극복
  4. FTA 및 외교적 대응 강화
    • WTO 또는 양자 FTA 채널을 통한 관세 재조정 시도

* 결론

미국의 15% 자동차 관세는 한국 자동차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수출, 고용, 생산, 매출 전반에 걸친 구조적 타격이 예상됩니다.
그러나 빠른 현지화 전략과 고부가가치 전환, 그리고 시장 다변화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