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Car

자동차화재:전기차,내연기관차 이야기

by 중년크리스 2025. 7. 13.

 


"설마 내 차가?"… 차량 화재,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원인과 예방법

운전하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뉴스를 통해 차량 화재 소식을 접해보셨을 거예요. "설마 내 차가 불날까?" 싶다가도, 점점 가까운 이야기처럼 느껴지죠. 특히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전기차 화재 이슈도 자주 들려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화재 원인과 예방법을 차근차근 정리해보려고 해요. 평소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니까요. 내 차와 내 가족의 안전을 위해 꼭 알아두셔야 할 내용입니다.


*내연기관차 화재, 왜 발생할까?

내연기관차는 휘발유, 경유, LPG 같은 연료를 직접 태워서 움직이는 구조예요. 그렇다 보니 불이 날 가능성도 ‘연료’와 ‘열’에 많이 관련돼 있습니다.

*주로 이런 원인에서 시작돼요

  • 연료나 오일이 샌 경우
    오래된 차량이나 정비가 소홀한 차는 연료 호스나 오일 팬 쪽에서 기름이 새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이게 뜨거운 엔진이나 배기라인과 만나면 불이 붙을 수 있죠.
  • 전기 배선 문제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설치할 때 배선을 엉성하게 하면 합선(쇼트)이 날 수 있어요. 특히 오래된 차는 배선 피복이 삭아서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 엔진 과열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라디에이터가 고장 나면 엔진이 너무 뜨거워져서 불이 날 수도 있어요. 특히 여름철 장거리 주행할 땐 꼭 체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 머플러에 붙은 낙엽, 비닐
    가을철엔 낙엽이 하부에 달라붙고, 그게 뜨거운 머플러랑 닿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요. 소소하지만 생각보다 자주 있는 일입니다.
  • 부주의한 정비 또는 불법 튜닝
    아무리 멋지게 꾸미고 싶어도, 전기계통을 건드리거나 연료 관련 부품을 조작하는 튜닝은 매우 위험할 수 있어요.

* 이렇게 예방해보세요

  • 정기적인 점검은 필수
    평소에 보닛 열고 오일 새는 흔적이 없는지, 냉각수는 적정량인지 확인해보세요. 특히 오래된 차는 더 신경 써야 해요.
  • 추가 장비 설치는 전문가에게
    블랙박스 설치도 그냥 하지 마시고, 믿을 만한 전문 업체에 맡기시는 걸 추천드려요.
  • 낙엽이나 비닐은 주행 전에 확인
    주차된 차량 하부에 뭔가 붙어 있는지 한 번 확인해보는 습관, 은근히 중요한 예방이 됩니다.
  • 차량용 소화기 꼭 비치하기
    혹시 모를 상황을 위해 조그만 차량용 소화기 하나는 차에 항상 비치해두시는 게 좋아요.

*전기차 화재, 가장 무서운 건 ‘열폭주’

전기차는 구조 자체가 내연기관차와 다르기 때문에, 화재 원인도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배터리 열폭주’라는 현상이 전기차 화재의 핵심인데요, 한 번 시작되면 진화도 어렵고 위험성도 크죠.

청라아파트전기차화재현장

* 이런 상황은 특히 주의하세요

  • 배터리 셀에 충격 또는 손상
    작은 충격이 배터리 내부 셀에 문제를 일으키고, 이것이 열을 발생시켜 인접한 셀에 퍼지면서 전체가 발화하는 거예요. 전기차 화재의 대부분은 이 과정에서 시작됩니다.
  • 충전 중 과열 또는 과충전
    비정품 충전기, 오래된 충전소, 혹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오류로 과충전이 발생할 수 있어요. 충전 중 열이 과하게 올라가는 상황은 반드시 피해야 해요.
  • 침수 차량
    장마철에 침수된 전기차는 감전이나 화재 위험이 아주 높아요. 절대 시동을 걸거나 충전하시면 안 됩니다!

* 전기차는 이렇게 관리하세요

 

  • 충전은 믿을 수 있는 장비와 장소에서
    꼭 정품 충전기 사용하시고, 인증된 충전소에서 충전하세요. 특히 아파트나 자가 충전시설을 이용할 땐 관리 상태도 잘 확인해 보세요.
  • 완충 후 충전기 분리하기
    충전 끝났는데도 계속 충전기에 꽂아두면 배터리 과열 위험이 있습니다. 저는 앱 알람을 설정해두고 충전이 끝나면 바로 분리합니다.
  • 급속 충전은 되도록 자제하기
    장거리 여행할 때는 어쩔 수 없지만, 평소에는 완속 충전을 이용하는 게 배터리 건강에도 좋고, 안전에도 더 유리해요.
  • 침수 시 무조건 견인 요청
    "괜찮아 보이는데?"라는 판단이 제일 위험해요. 침수된 전기차는 무조건 손대지 말고, 견인과 점검부터 받으세요.
  • 전기차 전용 소화기 비치하기
    일반 소화기로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기차 전용 소화기나 초기 진압 용품을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 내 차를 지키는 공통 수칙

  • 경고등이 들어오면 바로 확인
    주행 중 경고등이 켜지면 절대 무시하지 마세요. 작은 문제처럼 보여도, 화재의 전조일 수 있어요.
  • 타는 냄새나 연기? 무조건 대피
    조금이라도 이상하다 싶으면 차를 세우고, 탑승자 모두 대피한 뒤 119에 연락하세요.
  • 정기 점검이 가장 확실한 보험
    차량 점검은 귀찮은 게 아니라, 가장 확실한 ‘예방 보험’입니다. 특히 배선, 냉각 시스템, 오일류는 꼭 점검하세요.

* 마무리하며

차량 화재는 "그럴 수도 있지"가 아니라, "절대 일어나선 안 되는 일"입니다. 그만큼 평소에 내가 차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정말 중요하죠.
요즘처럼 날씨가 덥고 불안정한 계절에는 더더욱 신경 쓰셔야 하고요.

혹시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다면, 오늘 퇴근길에라도 한 번 보닛 열어보세요.
그리고, 차량용 소화기 하나 준비해두셨는지도 점검해보시고요.
작은 습관 하나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로드 슈어트의' SAILING' 듣겠습니다